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 지하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 지하철은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74년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 11개 노선, 337개 역, 총 352.8km의 구간을 운영하고 있다. 건설 시기에 따라 1~3기 지하철과 서울 경전철로 구분되며,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남서울경전철 등 여러 운영 기관이 참여한다. 서울 지하철은 건설 초기 일본의 기술 협력을 받았으며, IMF 외환 위기 이후 일부 노선 계획이 변경되기도 했다. 2017년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적자 해소를 위해 역명 병기 사업을 재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 1기 지하철
    1기 지하철은 1970년대 서울의 인구 증가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 건설된 지하철 1, 2, 3, 4호선으로, 특히 2호선은 순환선 형태로 건설되어 강남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수도권 전철 - 서울 경전철
    서울 경전철은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시스템으로, 1993년 계획 수립 이후 여러 차례의 계획 수정과 노선 확정을 거쳐 우이신설선, 신림선 등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 철도 노선 - 나고야역
    나고야역은 JR 도카이,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나고야시 교통국 노선이 접속하고, 메이테쓰 및 긴테쓰와 환승이 가능하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나고야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자 '메이에키'라 불리는 번화가이다.
  • 철도 노선 - 에비스초역
    에비스초역은 오사카부 나니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한카이 전기 궤도 한카이 선과 오사카 메트로 사카이스지 선이 지나며, 덴덴타운, 신세카이 등의 시설과 인접해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서울 지하철
지도
기본 정보
명칭서울 지하철
한글서울 지하철
한자서울地下鐵
가타카나소울 치하테루
로마자 표기법문화관광부 2000년식: Seoul Jihacheol
매큔-라이샤워식: Sŏul Chihach'ŏl
영어 안내Seoul Subway
도시 철도 체계
종류도시 철도
운행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상태운행 중
노선 수1
역 수337
개통일1974년 8월 15일
소유자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운영자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한국철도공사
영업 거리351.5km
궤간1,435 mm
참고 자료
서울교통공사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현황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현황

2. 역사

서울 도시철도는 건설 시기에 따라 1기 지하철(1·2·3·4), 2기 지하철(5·6·7·8), 3기 지하철(9·10·11·12), 그리고 서울 경전철로 구분된다. 1990년대 초 3기 지하철을 계획하였으나, IMF 외환위기로 인해 9·10·11·12호선 중 10·11·12호선 계획이 폐기되고 3호선 오금 연장(수서~오금)과 9호선이 추진되었고, 3기 지하철의 일부 노선들은 광역철도와 서울 경전철의 노선으로 계승되어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 도시철도는 개통 이래 수도권 전철과 별개의 개념으로서 운영되어 왔다(단, 요금체계는 모두 같았다). 노선도에는 '국철' 노선과 '도시 철도' 노선이 다른 명칭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4호선의 경우, 당시에는 4호선(파란색)·국철(혹은 과천선·안산선으로 회색 혹은 연파란색)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왔다. 또한 1호선도시 철도 구간(빨간색)을 제외한 모든 국철 구간이 남색(혹은 군청색)으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는 노선 구분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서 직결 운행하는 노선을 같은 명칭과 같은 색상으로 통합표기하는 것이 여객 안내 및 홍보에 편리하다고 판단하여, 2000년에는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과 색상을 통합하였고, 현재는 거의 구분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원 각 선의 전철화 사업은 원자금 융자(円借款)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더 나아가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으로 건설되어 개통 당시 전동차는 모두 일본 제품이었다.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 달러의 융자를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해왔다. 따라서 현재에도 지침 확인 등 기본적인 운영은 일본식이다.

서울교통공사가 설립되기 이전에는 서울특별시가 출자하는 지하철 운영공사로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두 회사가 존재했다. 이는 전자가 운영하는 노선은 열차에 기관사와 차장이 승무하지만, 후자가 운영하는 노선은 경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인운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노사 관계 문제나 양 공사의 서비스 향상 등의 경쟁 원리를 작용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단, 2017년 5월 31일에 양사를 통합하여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했다.

과거에는 10호선(시흥 - 면목)·11호선(양재 - 신월)·12호선(왕십리 - 성북)도 계획되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으로 중단되었고, 10호선은 수인선·서울 경전철 면목선, 11호선은 신분당선·서울 경전철 목동선, 12호선은 서울 경전철 동북선·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계획으로 대체되었다.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지하철 이용객 수가 급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1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했다. 교통공사는 적자 해소를 위해 역 주변 사업자나 기관으로부터 홍보 목적으로 대가를 얻어 역명에 사업자를 병기하는 광고 사업을 재개했다. 2017년까지 26개 역에 병기가 이루어졌지만, 앞으로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1]

2. 1. 시초

1968년까지 노면전차가 운영되었으나, 1968년 11월 30일에 운행이 중단되어 철거되었다. 도로 교통의 발달로 노면전차가 완전히 폐지되었지만, 많은 수용량을 가진 대중교통이 폐지된 것은 1950년대 말부터 급증하던 도시 노동자들이 이동하기 힘들게 만들었다. 1970년 4월 서울시장으로 부임한 양택식에 의해 지하철 건설이 계획되었다. 양택식은 1966년에서 다음해까지 철도청장을 역임한 인물로서, 1960년대~1970년대 도시화 과정을 주도한 네 명의 시장 가운데 철도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던 인물이었다. 이 계획은 김학렬 당시 경제기획원장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혔다. 지하철 건설에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은 외국 차관 없이는 조달할 수 없었고, 긴축경제와 인구집중 심화 방지라는 논리로 경제관료들은 지하철 건설에 반대했다. 그러나 이후락 당시 주일대사의 설득 등으로 인해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지하철 건설을 최종 결정한다. 물론 실제 사업 진행은 경제기획원의 개입을 통해 진행되었다. 서울시 육백년사에 따르면 서울 교통난의 해결을 위하여 지하철이 구상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63년이었다.

2. 2. 1기와 2기 지하철

서울 지하철(종로선) 개통기념 우표


서울 지하철의 초창기에 해당하는 1기는 1970년부터 1985년 사이에 사업이 진행된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을 일컫는다. 1호선(서울역 - 종로 - 동대문 - 청량리), 2호선(시청 ↔ 을지로 ↔ 왕십리성수(성수 - 신설동) ↔ 잠실 ↔ 종합운동장 ↔ 강남 ↔ 교대 ↔ 사당 ↔ 서울대입구 ↔ 신도림 ↔ 영등포구청 ↔ 신촌 ↔ 시청), 3호선(구파발 - 불광동 - 독립문 - 충무로 - 압구정 - 교대 - 양재), 4호선(상계 - 미아동 - 한성대입구 - 충무로 - 서울역 - 동작 - 사당) 구간이 해당되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의 중반기인 2기 지하철은 1990년부터 2001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다.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및 1기 지하철의 연장구간인 2호선 신도림 - 양천구청 - 까치산 구간과 3호선 지축 - 구파발, 양재 - 대치 - 수서 구간, 4호선 상계 - 당고개 구간이 해당된다. 5호선(방화 - 김포공항 - 까치산 - 영등포구청 - 여의도 - 공덕 - 광화문 - 왕십리 - 군자 - 천호 강동 - 상일동, 오금 - 마천), 6호선(응암 → 독바위 → 응암 - 월드컵경기장 - 공덕 - 이태원 - 약수 - 동묘앞 - 상월곡 - 태릉입구 - 봉화산), 7호선(장암 - 도봉산 - 태릉입구 - 상봉 - 건대입구 - 청담 - 고속터미널 - 이수 - 신풍 - 철산 - 온수), 8호선(암사 - 잠실 - 가락시장 - 복정 - 모란) 구간이 건설되었다. 기존 노선의 연장 구간을 제외한 신규 2기 지하철 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2. 3. 3기 지하철과 경전철

3기 지하철은 2기 지하철 건설 이후에도 여전히 도시철도 음영지역이 남아있고 네트워크 확충이 부족하다는 판단 하에 서울시가 추진한 지하철 노선 확충 계획이었다.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및 3호선 연장선(수서 - 오금)이 계획되었으나 IMF의 권고에 의해 파기되었다. 이 가운데 9호선과 3호선 오금 연장 노선은 서울특별시에 의해 다시 추진되었고, 10·11·12호선은 광역철도 노선과 서울 시내 경전철 노선 등으로 전환되었다. 3호선 연장 구간은 수서 ~ 오금이며, 9호선 구간은 개화 - 김포공항 - 가양동 - 염창동 - 여의도 - 노량진 - 동작 - 고속터미널 - 신논현 - 종합운동장 - 둔촌동 - 중앙보훈병원이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구간을 제외한 신규 3기 지하철 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7월 24일, 서울시는 총 연장 85.41km, 사업비 8조 규모의 경전철 계획안(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발표하였다. 2007년 발표되었던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일부 수정하여 9개 노선을 확정지었으며, 신교통 수단인 트램(노면전차)도 계획안에 포함되었다.

서울특별시는 앞으로 기존 노선의 연장을 제외하고는 경전철로 지을 계획이며, 노선색은 진한 회색이다. 서울시는 경전철을 민간자본으로 건설할 예정이지만 수요가 낮은 지역은 사업자를 유치하지 못하여 논란이 있다.

2. 4. 연혁

1971년 4월 12일, 1호선이 기공되었다. 1974년 8월 15일에는 1호선이 개통되었다. 1980년 10월 31일에는 2호선이 개통되었고, 1985년에는 4월 20일 4호선이, 7월 12일에는 3호선이 개통되었다.

1995년 11월 15일 5호선이 개통되었으며, 1996년에는 10월 11일 7호선11월 23일 8호선이 개통되었다. 2000년 8월 7일에는 6호선이 개통되었다.

2009년 7월 24일, 9호선이 개통되었고, 2017년 9월 2일에는 우이신설선이, 2022년 5월 28일에는 신림선이 개통되었다.

3. 노선

서울 지하철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운영하는 구간을 말한다.[2]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과천선, 분당선, 일산선 등은 통계에서 제외된다.[2]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이고, 가장 짧은 노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이다.

노선색노선명기점종점차량 기지역 수거리소유자운영자
style="background-color: #0052A4; color: white;" |1호선서울청량리동묘앞107.8km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00A84D; color: white;" |2호선시청시청용답4448.8km
성수신설동55.4km
신도림까치산도림천56.0km
style="background-color: #EF7C1C; color: white;" |3호선지축오금지축
수서
3438.2km
style="background-color: #4DC5E2; color: white;" |4호선당고개남태령창동2631.1km
style="background-color: #996CAC; color: white;" |5호선방화상일동/마천방화
상일동
5145.2km (본선)
7.1km (지선)
style="background-color: #CD7C2F; color: white;" |6호선응암신내신내3936.4km
style="background-color: #747F00; color: white;" |7호선장암석남천왕
장암
5361.0km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F5A2A1; color: white;" |8호선암사모란모란1817.7km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BDB092; color: white;" |9호선개화중앙보훈병원개화3840.8 km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68A55C; color: white;"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신설동북한산우이1311.4km우이신설경전철
style="background-color: #748500; color: white;" |신림선샛강관악산보라매공원118.1km남서울경전철
합계11개 노선---337352.8km--
비고


3. 1. 노선 목록

서울 지하철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가 관리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운영하는 구간을 말한다.[2]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과천선, 분당선, 일산선 등은 통계에서 제외된다.[2]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이고, 가장 짧은 노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이다.

노선색노선명기점종점차량 기지역 수거리소유자운영자
style="background-color: #0052A4; color: white;" |1호선서울청량리동묘앞107.8km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00A84D; color: white;" |2호선시청시청용답4448.8km
성수신설동55.4km
신도림까치산도림천56.0km
style="background-color: #EF7C1C; color: white;" |3호선지축오금지축
수서
3438.2km
style="background-color: #4DC5E2; color: white;" |4호선당고개남태령창동2631.1km
style="background-color: #996CAC; color: white;" |5호선방화상일동/마천방화
상일동
5145.2km (본선)
7.1km (지선)
style="background-color: #CD7C2F; color: white;" |6호선응암신내신내3936.4km
style="background-color: #747F00; color: white;" |7호선장암석남천왕
장암
5361.0km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F5A2A1; color: white;" |8호선암사모란모란1817.7km서울특별시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BDB092; color: white;" |9호선개화중앙보훈병원개화3840.8 km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style="background-color: #68A55C; color: white;" |우이신설선북한산우이신설동북한산우이1311.4km우이신설경전철
style="background-color: #748500; color: white;" |신림선샛강관악산보라매공원118.1km남서울경전철
합계11개 노선---337352.8km--
비고


4. 운영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원 각 선의 전철화 사업은 원자금 융자(円借款)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으로 건설되어 개통 당시 전동차는 모두 일본 제품이었다.[1]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 달러의 융자를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해왔다.[1] 따라서 현재에도 지침 확인 등 기본적인 운영은 일본식이다.[1]

서울교통공사가 설립되기 이전에는 서울특별시가 출자하는 지하철 운영 공사로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두 회사가 존재했다.[1] 이는 전자가 운영하는 노선은 열차에 기관사와 차장이 승무하지만, 후자가 운영하는 노선은 경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인운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노사 관계 문제나 양 공사의 서비스 향상 등의 경쟁 원리를 작용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1] 단, 2017년 5월 31일에 양사를 통합하여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했다.[1]

과거에는 10호선(시흥 - 면목)·11호선(양재 - 신월)·12호선(왕십리 - 성북)도 계획되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으로 중단되었고, 10호선은 수인선·서울 경전철 면목선, 11호선은 신분당선·서울 경전철 목동선, 12호선은 서울 경전철 동북선·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계획으로 대체되었다.[1]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지하철 이용객 수가 급감했다.[1] 서울교통공사는 1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했다.[1] 교통공사는 적자 해소를 위해 역 주변 사업자나 기관으로부터 홍보 목적으로 대가를 얻어 역명에 사업자를 병기하는 광고 사업을 재개했다.[1] 2017년까지 26개 역에 병기가 이루어졌지만, 앞으로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1]

4. 1. 재정 문제와 역명 병기 사업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원 각 선의 전철화 사업은 원자금 융자(円借款)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으로 건설되어 개통 당시 전동차는 모두 일본 제품이었다.[1]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 달러의 융자를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해왔다.[1] 따라서 현재에도 지침 확인 등 기본적인 운영은 일본식이다.[1]

서울교통공사가 설립되기 이전에는 서울특별시가 출자하는 지하철 운영 공사로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두 회사가 존재했다.[1] 이는 전자가 운영하는 노선은 열차에 기관사와 차장이 승무하지만, 후자가 운영하는 노선은 경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인운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노사 관계 문제나 양 공사의 서비스 향상 등의 경쟁 원리를 작용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1] 단, 2017년 5월 31일에 양사를 통합하여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했다.[1]

과거에는 10호선(시흥 - 면목)·11호선(양재 - 신월)·12호선(왕십리 - 성북)도 계획되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으로 중단되었고, 10호선은 수인선·서울 경전철 면목선, 11호선은 신분당선·서울 경전철 목동선, 12호선은 서울 경전철 동북선·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계획으로 대체되었다.[1]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지하철 이용객 수가 급감했다.[1] 서울교통공사는 1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했다.[1] 교통공사는 적자 해소를 위해 역 주변 사업자나 기관으로부터 홍보 목적으로 대가를 얻어 역명에 사업자를 병기하는 광고 사업을 재개했다.[1] 2017년까지 26개 역에 병기가 이루어졌지만, 앞으로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서울 지하철, 코로나19로 승객 감소, 경영난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21-05-20
[2] 뉴스인용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현황 https://web.archive.[...] 서울특별시 2012-07-16
[3] 뉴스 서울시, 경전철 9개 노선 건설 10년간 단계 추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7-24
[4] 뉴스 https://news.naver.c[...]
[5] 뉴스 https://news.nave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